연금펀드 TDF 노후준비로 핫해
안녕하세요~
오늘은 TDF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.
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국가가 고령화사회로인해 노후준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데요. 퇴진연금 IRP계좌를 활용한 펀드로 많은 추천을 받고 있는 TDF는 어떤 상품인지 확인해보겠습니다.
TDF는 은퇴 및 노후준비를 위한 장기투자 상품입니다. TDF는 Target Date Fund의 약자로 타겟 데이트펀드라고 불립니다. TDF는 투자자의 은퇴시점을 타겟데이트하여 생애주기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자산배분 펀드라고 합니다.
미국의 경우 운용규모가 이미 1000조원을 돌파 할 정도로 노후준비를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. 반면에 우리나라는 2016년에 처음으로 출시가 되었지요.
현재 우리나라 TDF 시장도 4521억원으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운용하고 있는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TDF펀드를 3가지로 요약해보자면
1. 투자자의 연령에 따라 생애주기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해 운용한다.
2. 자산의 분산투자를 통해 위험요소를 최소화하고 안전한 추가수익을 만드는 것을 추구한다.
3. 펀드매니저 또는 펀드가 자체적으로 채권 및 주식 비율을 주기적으로 조정하여 벨런식을 맞춰간다.
위와같은 특징을 갖고 있는 TDF펀드는 노후시기에 따라서 5년단위로 상품이 출시되어 있습니다.
펀드명에 2020, 2025, 2030, 2035 등 5년씩 차이를 두고 상품이 구성되어 있습니다.
TDF펀드는 장기간 투자하는 연금펀드 상품이기 때문에 펀드수수료 및 수익률을 꼼꼼히 체크해야 합니다. 장기간 운영되는만큼 펀드수수료의 차이가 크게 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. 비용은 줄고 복리효과가 적용된다면 수익을 더욱 커질 수 있겠지요.
국내 주요 운용사들이 TDF상품으로 2045년까지 27년간 매월 30만원씩 투자한 결과 4%수익이 발생했다고 가정하여 검토해본 결과 펀드에 사용된 비용이 운용사별로 최대 1천만원 가까이 차이가 발생했다고 합니다. 그만큼 낮은 투자비용이 장기투자에서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.
자산운용사들이 동일한 TDF상품을 하더라도 방식이나 투자비중 및 수익률 등이 조금씩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투자자의 성향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게 중요하겠습니다.
'재무설계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월 한국은행 금리 인상될까? (0) | 2017.10.30 |
---|---|
연금저축 소득공제 한도 115만원 환급방법 (0) | 2017.10.26 |
저축은행 적금금리 비교 Vs 7%수익률 (0) | 2017.10.20 |
똑똑한 재테크를 위해서는 특판을 잡자. (0) | 2017.10.16 |
종금형CMA 알아보고 활용해요 (0) | 2017.10.10 |